알림마당

  • 상담전화

    02-2123-4504

    업무시간.
    평일 09:00~18:00
    토,공휴일 휴무

홍보사항

[e-News Vol.13] 프로젝트 No.28 : 유전자 발현 기반의 위암-대장암의 분자아형 이질성 판별
작성자 관리자

 

f78be21b7cfaa840da5e5f724b62788a_1562916229_48.png 

2020년 정밀의료기술개발사업단 연구 프로젝트 소개

 연구주제

 유전자 발현 기반의 위암-대장암의 분자아형 이질성 판별

 연구책임자

 김태민 교수(가톨릭대학교)

 핵심연구원 

 김선민(가톨릭대학교

 작성자

 김태민 교수(가톨릭대학교)

 위암, 대장암은 한국인 호발암으로 내시경 기반의 조기진단율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진행성 암의 완치율은 여전히 높지 않고 새로운 분자아형의 연구 및 치료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특히, 위암, 대장암의 경우 다른 암종과는 달리 미세부수체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이라는 특이한 분자아형이 존재하는데(1) 미세부수체불안정성이 존재하는 소위 MSI-H종양의 경우 DNA수선기전의 문제(DNA mismatch repair deficiency)와 높은 돌연변이빈도(hypermutation) 등의 특징이 관찰되며 높은 수준의 면역치료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다(2).

cbb422608a1d4463864b852068789e1a_1594971293_78.png
 그림1. MSI-H/MSS공존상태의 위암, 대장암의 발굴을 위한 예측 모델 구축의 모식도.
 ​조직 기반의 deep learning모델을 통해 MSI-H-MSS암종의 구분 및 양 아형이 이질적으로 공존하는 collision tumor를 발굴함. 구분된 MSI-H, MSS, collision tumor(training set)을 유전자발현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는 마커/시그너쳐 발굴 및 예측모델 구현, performance test수행. 유전자발현 및 임상자료가 확보된 위암-대장암 자료에 대한 예측모델 적용 및 임상 응용성 확보를 수행
 본 연구진은 암유전체 시퀀싱데이터를 이용한 미세부수체불안정성의 발굴기법, 빈도에 대한 연구 및 다양한 암종에서 종양내이질성(intratumoral heterogeneity)에 대한 진화연구를 수행해 왔다. 특히, 위암 및 대장암의 다양한 조직상태 및 임상상황에서 다중의 암클론이 단일환자에게 존재하는 종양내이질성의 연구를 통해 암진화다이나믹스가 기존의 예측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존재하며 이러한 연구가 암발생 및 임상기술로 응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3-8). 이러한 종양이질성은 암환자의 분자아형구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특히, MSI-H및 이의 대립아형인 MSS(microsatellite stable)이 한 환자에게서 공존할 수 있다는 점이 최근 여러 연구진들에 의해 보고되고 있다(9). MSI-H의 경우 높은 돌연변이빈도에 따른 높은 면역성으로 항암면역치료의 대상이 되나, 면역치료에 일차적인 반응 후, MSS서브클론의 성장에 따른 치료효과 감소 및 불량한 임상예후가 예측되고 있다. 즉, MSI-H/MSS를 대립하는 아형으로 가정한 기존의 이분법적인 분류체계는 이러한 이질성에 기반한 임상양상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아형분류법 및 예측모델이 필요한 상황임
 이에, 본 연구진은 유전자발현을 이용한 분자아형구분마커를 활용하여 이러한 MSI-H, MSS의 공존(collision tumor)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예측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며, 이를 조직기반의 인공지능모델과 비교-상호보완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를 같은, 임상지향형 모델로서 구현하고자 함(그림1). 본 연구결과를 통해 MSI-H/MSS가 공존하는 collision tumor를 구분하여 기존의 MSI-H/MSS분류체계를 정밀화하며, 해당 환자의 경우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임상 및 감시지침을 확보하고 나아가 위암 및 대장암의 진화모델을 구축하고자 함.

1. Kim TM, Laird PW, Park PJ. The Landscape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in Colorectal and Endometrial Cancer Genomes. Cell. 2013 Nov 7;155(4):858-68 Pubmed 

2. Cortes-Ciriano I, Lee S, Park WY, Kim TM*, Park PJ*. A molecular portrait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across multiple cancers. Nat Commun. 2017 Jun 6;8:15180. (*co-correspondence)

3. Kim TM, Jung SH, Kim MS, Baek IP, Park SW, Lee SH, Lee HH, Kim SS, Chung YJ, Lee SH. The mutational burdens and evolutionary ages of early gastric cancers are comparable to those of advanced gastric cancers. J Pathol. 2014 Nov;234(3):365-74 Pubmed

4. Kim TM, An CH, Rhee JK, Jung SH, Lee SH, Baek IP, Kim MS, Lee SH, Chung YJ. Clonal origins and parallel evolution of regionally synchronous colorectal adenoma and carcinoma. Oncotarget. 2015 Sep 29;6(29):27725-35. doi: 10.18632/oncotarget.4834. PubMed PMID: 26336987

5. Lim CH, Cho YK, Kim SW, Choi MG, Rhee JK, Chung YJ, Lee SH, Kim TM. The chronological sequence of somatic mutations in early gastric carcinogenesis inferred from multiregion sequencing of gastric adenomas. Oncotarget, 2016 Jun 28;7(26):39758-39767. PMID: 27175599

6. Kim TM, Jung SH, An CH, Lee SH, Baek IP, Kim M, Park SW, Rhee JK, Lee SH, Chung YJ. Subclonal genomic architectures of primary and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based on intratumoral genetic heterogeneity. Clin Cancer Res. 2015 Oct 1;21(19):4461-72. Pubmed

7. Lee HH, Kim SY, Jung ES, Yoo J, Kim TM, Mutation heterogeneity between primary gastric cancers and their matched lymph node metastases, Gastric Cancer volume 22:323–334, 2019.

8. Lee SH, Yoo J, Song YS, Lim CH, Kim TM, Mutation Analysis of Colorectal and Gastric Carcinomas Originating from Adenomas: Insights into Genomic Evolution Associated with Malignant Progression, Cancers (Basel) 2020; 12:325. (doi: 10.3390/cancers12020325)

9. Kather JN et al., Deep learning can predict microsatellite instability directly from histology in gastrointestinal cancer. Nat Med, 25:1054, 2019.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상담전화

    02-2123-4504

    업무시간.
    평일 09:00~18:00
    토,공휴일 휴무